젖과 꿀이 흐르는 땅의 성서적 의미   
 

한국 순례 객들이 이스라엘에 와서 가장 많이 하는 질문 중 하나가 '어떻게 이 땅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고 할 수 있나'라는 것이다.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메마르고 척박하다는 것이다.


이스라엘이 푸른 초장과 아름다운 들 꽃으로 뒤덮여 아름다운 때도 있다. 우기가 거의 끝날 무렵인 3월, 특히 중순경에는 네게브나 사해 지역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칠고 메마른 유대 광야조차도 푸르러 지고 노란 들꽃, 빨간 들꽃이 수천 송이씩 무리 지어 피는 등 아주 아름답다.

그러나 이 아름다움이 4월에 들어 서면서 급격히 사라지는데, 특히 히브리어로 '샤라브'(아랍어로 '함씬')라는 뜨거운 바람이 불어 오면 그렇다 (샤라브는 구약에도 나오는데 이사야 49장 10절에서 '볕'으로, 35장 7절에서 '뜨거운 사막'으로 번역했다. 현대 히브리어로 샤라브는 구약성서의 '카딤'으로, 호세아 13장 15절은 '동풍'으로 번역 했다)

이스라엘의 자연이 아름다운 때는 일년 중 약 한 달 정도이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한국 순례 객들은 아름답고 풀이 많은 이스라엘 보다는 메마르고 극히 황량해 보이는 이스라엘을 보면서 '어떻게 이 땅이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 될 수 있는가'라고 질문하는데, 이는 성서를 읽으면서 이스라엘을 젖과 꿀이 흐르는 아주 아름다운 땅으로 상상하다가 실제로 와서 보니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고 갖게 되는 의문이며 혼동이다.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는 표현을 바로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먼저 그것이 이 세상에서 제일 아름답고 좋은 땅을 의미하는 것일 거라는 막연한 추측을 지워야 한다.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는 표현은 좋은 땅을 의미하는 성서 히브리적 표현이며, 고대 히브리인 들의 표현일 따름임을 알아야 한다.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는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를 알기 위해서 꼭 필요한 구절이 민수기 16장 13절이다. 민수기 16장의 배경은 광야에서 다단과 아비람 등이 모세에게 반란을 일으키는 장면으로, 모세의 부름을 거부하면서 그들은 '우리를 젖과 꿀이 흐르는 땅에서 이끌어 내어 이 광야에서 큰 고생을 시키는 주제에 왕처럼 행동하려느냐'고 말하고 있다.

여기에서 다단과 아비람이 지칭하고 있는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고 부른 것은 이곳 한 군데 뿐이긴 하지만, 애굽 땅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고 부른 민수기 16장 13절의 이 말씀을 모르는 척 그냥 넘어 갈 수는 없다.

우리는 먼저 다단과 아비람이 애굽 땅 전체를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고 한 것은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이 야곱 이후 출애굽 때까지 줄곧 살아오던 고센 땅만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고 말한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럼 고센은 어떤 땅이길래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불리우는가? 그 곳은 목축하기에 좋은 땅이었다. 농사에 적합한 애굽 땅(나일 삼각주)에서 유일하게 목축을 하기에 적합한 땅이 바로 고센 땅이었다는 것이다.

야곱이 꿈에도 그리던 아들 요셉을 만나러 애굽 땅에 내려가 바로를 알현하러 가기 전, 요셉은 아버지 야곱에게 바로를 만나거든 '우리는 조상 대대로 목축을 하는 자들이기 때문에 고센 땅에 거하게 해달라고 간청하라'고 권했다. (창 46:28-34)

결국 우리는 단 한 군데이긴 하지만,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는 표현이 최초에는 목축을 하기에 좋은 땅을 의미하는 관용적인 표현이지 가나안 땅-이스라엘 땅을 지칭하는 고유명사적인 표현은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브라함이 양과 염소 등을 몰고 다니던 반 유목민이었음을 생각할 때, 하나님께서 아주 적합한 땅을 약속하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아브라함이 벼농사를 짓는 한국의 농부 였다면 하나님께서는 '기름이 흐르는 땅'(기름진 옥토)를 약속하셨을 지도 모른다.

'목축하기 좋은 땅이 왜 하필이면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표현 되었는가' 하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또 '목축에 좋은 땅은 꼭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어야만 하는가'라는 의문도 제기될 수 있다.

목축 하기에 좋은 땅, 즉 풀이 많은 땅은 짐승들이 배불리 먹고 잘 자라고 또한 새끼를 많이 낳는다. 새끼를 많이 낳으면 당연히 어미 젖이 많으며, 또 풀이 많은 땅에 역시 꽃도 많고, 꽃이 많으면 꿀(성서의 꿀은 석청을 가리킨다)도 많기 때문에 그러한 표현이 나왔다고 추측 할 수 있다.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 꼭 가나안 땅만을 의미하는 고유명사적 표현, 즉 하나님이 약속하신,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목축을 하기에 좋은 땅을 관용적으로 표현한 것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구절이 또 있다.

우리는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는 표현을 당연히 축복의 표현으로만 생각 하는데, 이 표현을 저주의 의미로 사용한 것이 이사야서에 있다. 7장 21절 이하에서 이사야는 '앗수르 왕이 쳐들어오는 날에는 너희가 버터(젖)와 꿀만 먹게 될 것'이라고 경고의 예언을 하고 있다.

어떻게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 축복의 땅이 되기도 하고 동시에 저주의 땅도 되는 것일까? 그것은 시대적 상황 차이 때문이다. 족장 시대부터 가나안 땅에 정착하기 이전까지의 히브리인 들은 목축을 하던 반 유목민들이었으므로 그 때는 젖과 꿀이 풍성한 것이 그들이 원하는 바이며 또한 축복의 결과 였지만, 가나안 땅을 차지하고 왕국 시대를 거치면서 목축 생활을 버리고 농사를 짓는 정착민들이 되자 더 이상 풀이 많은 땅이 좋은 것으로 간주되지 않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사야 예언자의 이 말씀은 '그 날에 농토가 완전히 파괴되고 황폐해져 밀 농사를 짓지 못하고, 그래서 빵을 먹지 못하게 되고 황폐해진 농토에 잡초가 자라 그것을 암소, 양, 염소들이 먹을 것' 이라는 것이다. 히브리 인들이 목축 생활을 떠나 농경민이 되었을 때에 젖과 꿀만을 먹는다는 표현이 저주의 표현으로도 사용되기도 했다.

하지만 성서에서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는 표현이 가나안 땅을 지칭하는 고유명사 처럼 사용된 것 또한 사실이다. 이는 아름다운 산천을 가리키는 금수강산이라는 말을 우리 한국인들은 한반도 즉 우리나라를 지칭하는 고유명사인 양 생각하는 것과 같다.

결론적으로 말해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는 말은 원래 목축을 하기에 좋은 땅을 의미하는 히브리적 표현으로 이스라엘 땅을 가리키는 고유명사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또 이 말은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좋은 땅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었다. 우리 한반도가 이스라엘보다 더 좋은 땅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